원격평생교육원
닫기

수강신청

과목소개

2018학년도

2018-06-27 ~ 2018-10-09(수업기간)

학습과정명
건강가정론
교강사명
김채원
수강료
150,000원 → 105,000원
학점 / 정원
3학점 / 명
수업방식
 
수강대상자
 
학습기간
2018-06-27 ~ 2018-10-09 

수업개요

교과목 학습목표

1. 현대가족의 특성과 유형을 정의할 수 있다.
2. 건강가정에 관련된 이론을 구분하여 서술할 수 있다.
3. 건강가정을 실천하기 위한 법과 제도를 비교할 수 있다.
4. 건강가정정사업의 기본방향과 내용을 나열할 수 있다.
5.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와 실천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6. 다문화가족사업의 전달체계와 프로그램을 설명할 수 있다.
7. 건강가정사의 구체적인 역할과 자격을 적용할 수 있다.
8. 건강가정사의 실천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.

교재 및 참고문헌

1. 김익균외(2015), 건강가정론, 정민사
  • 1. 윤경자 외(2015), 건강가정론, 공동체
  • 2. 문혁중 외(2015), 건강가정론, 창지사
  • 3. 강유진ㆍ차승은(2013), 건강가정론, 공동체
  • 4. 참고사이트
  • 여성가족부 http://www.mogef.go.kr/
  • 한국건강가정진흥원 http://www.kihf.or.kr/
  • 다누리 http://www.liveinkorea.kr/
  • 건강가정지원센터 http://www.familynet.or.kr/
  • 통계청 http://www.kostat.go.kr

학습목차

1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-1. 가족의 이해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론의 전반에 대해 이해하고 학습계획을 세울 수 있다.
2)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할 수 있다.
3) 현대사회에서 가족기능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 다.
4) 현대사회에서 가족 가치관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
1) 건강가정론 과목 소개
2) 한국가족의 변화와 이해
3) 한국가족기능의 변화
4) 한국가족 가치관의 변화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교안]

[음성파일(MP3)]

[교수 인터뷰]
1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-2. 변화하는 현대가족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현대가족의 다양한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.
2) 다양한 가족의 유형에 따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맞벌이가족
2) 한부모가족
3) 재혼가족
4) 조손가족
5) 다문화가족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OX퀴즈
2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2-1. 건강가정의 이해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의 개념과 구성요건을 설명할 수 있다.
2) 건강가족을 위한 공적 개입의 과정과 결과를 요약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의 개념과 구성요건
2) 건강가정의 등장배경과 특징
3) 건강가정을 위한 개입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‘건강가정 적응 능력’ 체크리스트
2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2-2. 건강가정의 이론적 접근방향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에 기능적 접근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이론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의 기능적 접근의 이해와 영역
2) 건강가정이론의 전제조건과 구성
3) 건강가정이론의 역사적 접근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‘가족건강성’ 척도
3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3-1. 건강가정의 이론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구조기능주의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2)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구조기능주의 이론과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이 건강가정에 주는 시사점을 예측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구조기능주의 이론
2)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"가족의 구조와 기능"에 대해 생각해보기
3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3-2. 건강가정의 이론I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사회적 교환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2) 가족발달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3) 사회적 교환 이론과 가족발달 이론이 건강가정 에 주는 시사점을 예측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교환 이론
2) 가족발달 이론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시간이 흘러가면서 변화하는 가족모습에 대한 관심” 점검하기
4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4-1. 건강가정의 이론II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가족체계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2) 가족탄력성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 다.
3) 가족체계 이론과 가족탄력성 이론이 건강가정에 주는 시사점을 예측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가족체계 이론
2) 가족탄력성 이론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서로 연결된 가족구조”에 대해 관찰하기

[과제 주제 공지]
4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4-2. 건강가정의 이론IV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가족스트레스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2) 가족의사소통 이론의 개념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가족스트레스 이론과 가족의사소통 이론이 건강 가정에 주는 시사점을 예측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가족스트레스 이론
2) 가족의사소통 이론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가족대화의 양과 질”
점검하기
5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5-1. 건강가정정책의 이해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가족에 관한 이슈와 가족정책을 통한 다양한 해 법을 나열할 수 있다.
2) 가족정책의 개념과 필요성을 구술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가족에 관한 이슈와 가족정책
2) 건강가정정책의 개념과 목적
3) 건강가정정책의 방향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신문기사: “출생신고에서 양육수당까지… 하동군 출산·보육 원스톱 서비스 ”

[토론주제공지]
5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5-2. 건강가정정책의 접근방향과 정책과제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국가와 공공행정기관을 통한 건강가정정책의 접 근방법을 비교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정책의 내용을 분석하여 정책과제를 설 명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정책의 접근방법
2) 건강가정정책의 유형과 분석 내용
3) 건강가정정책의 정책과제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신문기사: “여가부 제3차 건강가정기본계획(2016~2020) 수립”
6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6-1. 건강가정기본법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기본법의 제정 배경 및 개정 내용을 분 석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기본법의 주요 내용을 규정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기본법의 이해
2) 건강가정기본법의 내용
3) 건강가정기본법의 발전방안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
“건강가정기본법 전문”
6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6-2. 다문화가족지원법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제정 배경 및 개정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.
2)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주요 내용을 규정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이해
2) 다문화가족지원법의 내용
3) 다문화가족지원법의 발전방안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다문화가족지원법 전문”

[퀴즈]
7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7-1. 한부모가족지원법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제정 배경 및 개정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.
2)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주요 내용을 규정할 수 있 다.

2. 세부내용 :
1)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이해
2) 한부모가족지원법의 내용
3) 한부모가족지원법의 발전방안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한부모가족지원법 전문”
7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7-2.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제 정 배경 및 개정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.
2)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의 주 요 내용을 규정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의 이 해
2)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의 내 용
3)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의 발 전방안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촉진에 관한 법률 전문”
8주차 중간고사
학습목차
중간고사 : 2018-08-15 (수) 15:00 ~ 2018-08-19 (일) 14:59
9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9-1. 건강가정지원센터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를 구분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 절차와 업무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발전방안을 예측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사업 전달체계의 의의와 특징
2) 건강가정사업 전달체계의 특징
3)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설치 절차와 업무 내용
4)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발전방안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한국가정지원센터 조직체계와 업무에 대한 선행이해
(www.familynet.or.kr)
9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9-2. 다문화가족지원센터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황과 운영을 설명할 수 있다.
2)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내용을 분석할 수 있 다.
3)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발전방안을 예측할 수 있 다.

2. 세부내용 :
1)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이해
2)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황과 운영
3)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내용
4)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발전방안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다문화가족지원센터 조직체계와 업무에 대한 선행이해
(www.liveinkorea.kr)
10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0-1. 건강가정사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직무를 규정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사의 자격과 교육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건강가정사의 발전방안을 예측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사의 이해
2)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직무
3) 건강가정사의 자격
4) 건강가정사의 발전방안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OX퀴즈
10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0-2. 건강가정사업의 이해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사업의 의미를 알고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사업의 목표와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사업의 의미
2) 건강가정사업의 기본 방향
3) 건강가정사업의 목표
4) 건강가정사업의 일반적인 내용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서울시 건강가정 사업 탐방하기
(www.family.seoul.go.kr/)

[과제제출마감]
11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1-1. 건강가정사업 내용의 발전과정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기본법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건강가정 사업을 비교할 수 있다.
2) 1, 2, 3차년도 건강가정사업의 내용을 알고 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기본법과 건강가정사업
2)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건강가정사업
3) 1, 2, 3차년도 건강가정사업의 발전과정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건강가정사 인터뷰I: “건강가정사업의 변화와 발전과정”
11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1-2.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법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전개과정을 나열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사업의 접근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등장 배경과 목표
2)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전개과정
3) 건강가정사업 실천의 접근방법
4)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건강가정사 인터뷰II: “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 접근방법”
12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2-1.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사업 실천과정의 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.
2) 건강가정사업 실천과정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
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접수와 계약 단계
2) 사정 단계
3) 요구도 조사 단계
4) 실천계획 수립과 개입 단계
5) 평가와 종결 단계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OX퀴즈
12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2-2.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과정I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사례관리의 의미와 전개과정을 서술할 수 있다.
2) 가족상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사례관리
2) 가족상담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사례관리의 성공사례 탐방하기
13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3-1.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 실천기술의 설명할 수 있다.
2) 관계형성 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.
3) 의사소통 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 실천기술의 의미
2) 관계형성 기술
3) 의사소통 기술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말하기 요령과 듣는 요령”
13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3-2. 건강가정사업의 실천기술I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과정 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.
2) 개별화 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.
3) 지역사회 연계 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과정 기술
2) 개별화 기술
3) 지역사회 연계 기술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OX퀴즈
14주차 1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4-1. 건강가정사업의 실천 프로그램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건강가정사업 실천 프로그램을 접근하는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.
2) 가정지원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건강가정사업 실천 프로그램의 이해
2) 건강가정사업 실천 프로그램의 과정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시대적 경향을 건강가정사업과 연계시킨 패밀리쉐프!
14주차 2차 강의
학습목차
강의명 14-2. 건강가정사업의 실천 프로그램II
강의목표 1. 학습목표 :
1) 가정생활교육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.
2) 부모교육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.
3)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다.

2. 세부내용 :
1) 가정생활교육
2) 부모교육
3)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
학습자료

(과제 개요 및 제출기간 포함)

[사전학습]
“동작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학교사업 들여다보기”
15주차 기말고사
학습목차
기말고사 : 2018-10-03 (수) 15:00 ~ 2018-10-07 (일) 14:59

수료 및 평가기준

출석률 80% 이상, 상대평가 점수 60점 이상 수료 (실습과목 및 수강인원 10인 이하인 경우 절대평가로 진행됩니다)

출석률
20%
중간고사
25%
기말고사
25%
퀴즈
5%
토론
5%
과제
15%
수업참여도
5%

성적분포

A학점
B학점
C학점 이하

평가기간 및 성적이의 신청기간

평가기간 및 성적이의 신청기간
구분 평가기간 성적확인 및 이의신청 기간
중간고사 2018-08-15 (수) 15:00 ~ 2018-08-19 (일) 14:59 까지 2018-08-27 (월) 00:00 ~ 2018-08-28 (화) 23:59 까지
기말고사 2018-10-03 (수) 15:00 ~ 2018-10-07 (일) 14:59 까지 2018-10-15 (월) 00:00 ~ 2018-10-16 (화) 23:59 까지
퀴즈 2018-08-01 (수) 00:00 ~ 2018-08-14 (화) 23:59 까지 2018-08-27 (월) 00:00 ~ 2018-08-28 (화) 23:59 까지
토론 2018-07-25 (수) 00:00 ~ 2018-08-07 (화) 23:59 까지 2018-10-15 (월) 00:00 ~ 2018-10-16 (화) 23:59 까지
과제 2018-07-18 (수) 00:00 ~ 2018-09-11 (화) 23:59 까지 2018-10-15 (월) 00:00 ~ 2018-10-16 (화) 23:59 까지

수업진행 방법

  • 15주차 이론 수업을 원격으로 진행함

강의유형

이론중심
O
토론, 세미나 중심
실기중심
이론 및 토론, 세미나 병행
이론 및 실험, 실습 병행
이론 및 실기 병행